82세의 노인이 52세된 아들과 거실에 마주 앉아 있었다.
그때 까치 한 마리가 창가의 나무에 날아와 앉았다.
노인이 아들에게 물었다.
"저게 뭐냐?"
아들은 다정하게 말했다.
"까치에요. 아버지."
아버지는 그런데 조금 후 다시 물었다.
"저게 뭐냐?"
아들은 다시 "까치라니까요."
노인은 조금 뒤 또 물었다. 세 번째였다.
"저게 뭐냐?"
아들은 짜증이 났다.
"글쎄, 까치라고요."
아들의 음성엔 아버지가 느낄만큼 분명하게 짜증이 섞여 있었다.
그런데 조금 뒤 아버지는 다시 물었다. 네 번째였다.
"저게 뭐냐?"
아들은 그만 화가 나서 큰 소리로 외쳤다.
"까치, 까치라고요! 그 말도 이해가 안되세요?"
"왜 자꾸만 같은 질문을 하세요?"
조금 뒤였다.
아버지는 방에 들어가 아주 낡은 일기장을 들고 나왔다.
그 일기장을 펴서 아들에게 주며 읽어 보라고 말했다.
아들은 일기장을 읽었다.
우리 아이가 세 살배기 아기였을 때의 이야기이다.
오늘은 까치 한 마리가 창가에 날아와 앉았다.
어린 아들은 "저게 뭐야?" 하고 물었다.
나는 "까치"라고 대답해 주었다.
그런데 아들은 연거푸 23번을 똑같이 물었다.
나는 귀여운 아들을 안아주며 끝까지 다정하게 대답해 주었다.
나는 까치라고 똑같이 23번을 대답해 주면서도 즐거웠다.
아들이 새로운 것에 호기심을 가지는 것에 감사했고
아들에게 사랑을 준다는게 즐거웠다.
낯이 뜨거워진 아들은 아버지 앞에서 얼굴을 들지 못했고
그런 아들의 손을 아버지는 꼭 잡아 주었다.
내리 사랑이라는 말이 있다.
부모는 아무리 못 살아도 10자식을 굶기지 않고 입히고 먹이며 교육을 시키려고 몸이 부서지도록 고생을 하면서
자녀들을 잘 키워놓아도 10자식은 서로 부모를 모시고 살려고 하지 않는 세상이라고 한다.
물론 맞벌이에다 바쁜 세상을 살아가면서 부모님을 아침저녁으로 식사를 챙겨 드리고 살아야 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닐지도 모르겠지만 위의 글처럼 부모의 마음과 자식의 마음은 저토록 틀리는지도 모르겠다.
새삼 돌아가신 시어른들께 진심으로 마음 다하여 잘 해드리지 못한 일들이 많이 후회가 되지만 돌이킬 수 없는 일이 되어 버렸다.
양친 부모님 중에서 이제 친정엄마 혼자 살아 계심에 이번 구정에는 금방 내려가시지 말고 우리 집에서 좀 추위가 풀릴 때까지 계시다가 가시라고 내려가는 표는 끊지 말고 올라오시라고 했다. 그래도 늘 누가 기다리는 것도 아닌데 일찍 가셔야한다고 성화 시긴 하지만...
불교에서는 살아 계신 부모님이 관세음보살님이라고 했다.
절에 가서 부처님 전에 절하기 전에 먼저 내 부모님께 마음 다하여 잘 해드려야 한다고
스승님은 이번 새해 불공 중에도 법문을 하셨다.
늘 제 블로그를 잊지 않고 찾아 주시는 고운님들께 머리 숙여서 고마운 마음을 전하면서
지금 살아 계신 부모님께 마음 편하게 잘 해 드리고 효를 다하는 고운 나날 보내시기를 바람하면서....
추운 날씨에 가내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신 고운 나날 보내시기를~~~*^^*~~~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북 2권을 만들었습니다 (0) | 2011.02.01 |
---|---|
어젯밤 트위터를 만들었다 (0) | 2011.01.28 |
당신은 특별한 사람입니다 (0) | 2011.01.18 |
고운님들 고맙습니다 (0) | 2011.01.07 |
영안실이 국화향으로 넘쳐나고.... (0) | 2011.01.05 |